1. 서론
생물공학 실험에서 분광기(Spectrophotoscopy)를 이용하여 흡광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비어 람버트 식(Beer Lambert equation)을 통해 흡광도(A), 흡광계수(ε), 농도(C), 셀 길이(L)를 구할 수 있습니다.
비어 람버트 식: A = εCL
일반적으로, 분광기(Spectrophotoscopy)를 사용하여 흡광도(A)를 측정하고, 측정했던 농도(C)를 알고 있기 때문에
Standard curve를 그리고, 기울기를 측정하여 해당 단백질의 흡광계수(ε)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단백질의 경우 트립토판(Trp), 타이로신(Tyr), 시스테인(Cys) 등 아미노산이 280nm에서 흡광도를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흡광계수 이론적 예측의 필요성
해당 시료가 없어 당장 실험을 진행할 수 없거나, 시료가 너무 적어 실험을 진행하기 어려울 경우
280nm에서 단백질의 흡광계수(ε)를 이론적으로 계산하고 우리가 원하는 영역의 흡광도(A)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비어 람버트 식: A = εCL
예를 들어, 해당 시료의 흡광도(A)를 1로 나타내고 싶다면,
비어 람버트 식: 1 = εCL
C = 1 / εL
로 흡광계수(ε)만 알 수 있다면 실험에 필요한 농도를 특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가장 빠른 방법은 280nm에서 흡광계수(ε)의 Reference를 찾는 것입니다.)
3. 흡광계수 이론적 예측
PDB bank에서 흡광계수 예측을 위한 단백질 코드(Sequence)를 불러옵니다.
예를 들어, T4 Lysozyme(라이소자임) 6LZM.pdb의 아미노산 코드입니다.
SEQRES 1 A 164 MET ASN ILE PHE GLU MET LEU ARG ILE ASP GLU GLY LEU
SEQRES 2 A 164 ARG LEU LYS ILE TYR LYS ASP THR GLU GLY TYR TYR THR
SEQRES 3 A 164 ILE GLY ILE GLY HIS LEU LEU THR LYS SER PRO SER LEU
SEQRES 4 A 164 ASN ALA ALA LYS SER GLU LEU ASP LYS ALA ILE GLY ARG
SEQRES 5 A 164 ASN CYS ASN GLY VAL ILE THR LYS ASP GLU ALA GLU LYS
SEQRES 6 A 164 LEU PHE ASN GLN ASP VAL ASP ALA ALA VAL ARG GLY ILE
SEQRES 7 A 164 LEU ARG ASN ALA LYS LEU LYS PRO VAL TYR ASP SER LEU
SEQRES 8 A 164 ASP ALA VAL ARG ARG CYS ALA LEU ILE ASN MET VAL PHE
SEQRES 9 A 164 GLN MET GLY GLU THR GLY VAL ALA GLY PHE THR ASN SER
SEQRES 10 A 164 LEU ARG MET LEU GLN GLN LYS ARG TRP ASP GLU ALA ALA
SEQRES 11 A 164 VAL ASN LEU ALA LYS SER ARG TRP TYR ASN GLN THR PRO
SEQRES 12 A 164 ASN ARG ALA LYS ARG VAL ILE THR THR PHE ARG THR GLY
SEQRES 13 A 164 THR TRP ASP ALA TYR LYS ASN LEU
280nm에서 흡광도를 나타내는 트립토판(Trp), 타이로신(Tyr), 시스테인(Cys)의 개수를 세어줍니다.
T4 Lysozyme(라이소자임) 6LZM.pdb의 경우
트립토판(Trp): 3개
타이로신(Tyr): 5개
시스테인(Cys): 2개
흡광계수(ε) (280nm) = 트립토판(Trp) * 5500 + 타이로신(Tyr) * 1490 + 시스테인(Cys) * 125
T4 Lysozyme(라이소자임) 6LZM.pdb의 경우
흡광계수(ε) (280nm) = 3 * 5500 + 5 * 1490 + 2 * 125 = 24200
T4 Lysozyme(라이소자임) 6LZM.pdb의 흡광계수(ε)는 24200M-1cm-1로 예측되었습니다.
3. 흡광계수 이론적 예측과 실험적 실제 값 비교
실제로, T4 Lysozyme(라이소자임)의 흡광계수(ε)는 24227M-1cm-1로
T4 Lysozyme(라이소자임) 6LZM.pdb의 흡광계수(ε) 예측값인 24200M-1cm-1과 비슷하게 예측되었습니다.
따라서,
비어 람버트 식: A = εCL
비어 람버트 식에 적용하여 흡광도 1로 측정되도록 하고 싶다면
비어 람버트 식: 1 = εCL
비어 람버트 식: C = 1 / εL = 1 / 24200
C = 0.041 mM
결국, 0.041mM의 농도로 T4 Lysozyme(라이소자임)을 분광기(Spectrophotoscopy)로 측정하면
흡광도 1에 가까운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4. 참고자료
Gill, Stanley C., and Peter H. Von Hippel. "Calculation of protein extinction coefficients from amino acid sequence data." Analytical biochemistry 182.2 (1989): 319-326.
Pace, C. Nick, et al. "How to measure and predict the molar absorption coefficient of a protein." Protein science 4.11 (1995): 2411-2423.
Anders, John C., et al. "Using amino acid analysis to determine absorptivity constants: A validation case study using bovine serum albumin." Biopharm international 16 (2003): 30-43.
'생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뱀파이어의 정체는? 포르피린증, 광견병, 펠라그라 (0) | 2020.04.12 |
---|---|
NDMA, N-Nitrosodimethylamine 잠재적 발암물질 (0) | 2020.01.01 |
[논문 소개] 이산화탄소 먹는 대장균, CO2를 바이오매스로 (0) | 2019.12.28 |
[논문 소개] 독성 CD4 T세포, 110세 이상 장수 비결 연구 (0) | 2019.12.28 |
[논문 소개] 3중 특이성 항체을 이용한 암 면역치료의 가능성 (T세포와 다발성 골수종) (0)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