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생물공학 실험에서 분광기(Spectrophotoscopy)를 이용하여 흡광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비어 람버트 식(Beer Lambert equation)을 통해 흡광도(A), 흡광계수(ε), 농도(C), 셀 길이(L)를 구할 수 있습니다.
비어 람버트 식: A = εCL
일반적으로, 분광기(Spectrophotoscopy)를 사용하여 흡광도(A)를 측정하고, 측정했던 농도(C)를 알고 있기 때문에
Standard curve를 그리고, 기울기를 측정하여 해당 단백질의 흡광계수(ε)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단백질의 경우 트립토판(Trp), 타이로신(Tyr), 시스테인(Cys) 등 아미노산이 280nm에서 흡광도를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흡광계수 이론적 예측의 필요성
해당 시료가 없어 당장 실험을 진행할 수 없거나, 시료가 너무 적어 실험을 진행하기 어려울 경우
280nm에서 단백질의 흡광계수(ε)를 이론적으로 계산하고 우리가 원하는 영역의 흡광도(A)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비어 람버트 식: A = εCL
예를 들어, 해당 시료의 흡광도(A)를 1로 나타내고 싶다면,
비어 람버트 식: 1 = εCL
C = 1 / εL
로 흡광계수(ε)만 알 수 있다면 실험에 필요한 농도를 특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가장 빠른 방법은 280nm에서 흡광계수(ε)의 Reference를 찾는 것입니다.)
3. 흡광계수 이론적 예측
RCSB PDB: Homepage
As a member of the wwPDB, the RCSB PDB curates and annotates PDB data according to agreed upon standards. The RCSB PDB also provides a variety of tools and resources. Users can perform simple and advanced searches based on annotations relating to sequence,
www.rcsb.org
PDB bank에서 흡광계수 예측을 위한 단백질 코드(Sequence)를 불러옵니다.
예를 들어, T4 Lysozyme(라이소자임) 6LZM.pdb의 아미노산 코드입니다.
SEQRES 1 A 164 MET ASN ILE PHE GLU MET LEU ARG ILE ASP GLU GLY LEU
SEQRES 2 A 164 ARG LEU LYS ILE TYR LYS ASP THR GLU GLY TYR TYR THR
SEQRES 3 A 164 ILE GLY ILE GLY HIS LEU LEU THR LYS SER PRO SER LEU
SEQRES 4 A 164 ASN ALA ALA LYS SER GLU LEU ASP LYS ALA ILE GLY ARG
SEQRES 5 A 164 ASN CYS ASN GLY VAL ILE THR LYS ASP GLU ALA GLU LYS
SEQRES 6 A 164 LEU PHE ASN GLN ASP VAL ASP ALA ALA VAL ARG GLY ILE
SEQRES 7 A 164 LEU ARG ASN ALA LYS LEU LYS PRO VAL TYR ASP SER LEU
SEQRES 8 A 164 ASP ALA VAL ARG ARG CYS ALA LEU ILE ASN MET VAL PHE
SEQRES 9 A 164 GLN MET GLY GLU THR GLY VAL ALA GLY PHE THR ASN SER
SEQRES 10 A 164 LEU ARG MET LEU GLN GLN LYS ARG TRP ASP GLU ALA ALA
SEQRES 11 A 164 VAL ASN LEU ALA LYS SER ARG TRP TYR ASN GLN THR PRO
SEQRES 12 A 164 ASN ARG ALA LYS ARG VAL ILE THR THR PHE ARG THR GLY
SEQRES 13 A 164 THR TRP ASP ALA TYR LYS ASN LEU
280nm에서 흡광도를 나타내는 트립토판(Trp), 타이로신(Tyr), 시스테인(Cys)의 개수를 세어줍니다.
T4 Lysozyme(라이소자임) 6LZM.pdb의 경우
트립토판(Trp): 3개
타이로신(Tyr): 5개
시스테인(Cys): 2개
흡광계수(ε) (280nm) = 트립토판(Trp) * 5500 + 타이로신(Tyr) * 1490 + 시스테인(Cys) * 125
T4 Lysozyme(라이소자임) 6LZM.pdb의 경우
흡광계수(ε) (280nm) = 3 * 5500 + 5 * 1490 + 2 * 125 = 24200
T4 Lysozyme(라이소자임) 6LZM.pdb의 흡광계수(ε)는 24200M-1cm-1로 예측되었습니다.
3. 흡광계수 이론적 예측과 실험적 실제 값 비교
실제로, T4 Lysozyme(라이소자임)의 흡광계수(ε)는 24227M-1cm-1로
T4 Lysozyme(라이소자임) 6LZM.pdb의 흡광계수(ε) 예측값인 24200M-1cm-1과 비슷하게 예측되었습니다.
따라서,
비어 람버트 식: A = εCL
비어 람버트 식에 적용하여 흡광도 1로 측정되도록 하고 싶다면
비어 람버트 식: 1 = εCL
비어 람버트 식: C = 1 / εL = 1 / 24200
C = 0.041 mM
결국, 0.041mM의 농도로 T4 Lysozyme(라이소자임)을 분광기(Spectrophotoscopy)로 측정하면
흡광도 1에 가까운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4. 참고자료
Gill, Stanley C., and Peter H. Von Hippel. "Calculation of protein extinction coefficients from amino acid sequence data." Analytical biochemistry 182.2 (1989): 319-326.
Pace, C. Nick, et al. "How to measure and predict the molar absorption coefficient of a protein." Protein science 4.11 (1995): 2411-2423.
Anders, John C., et al. "Using amino acid analysis to determine absorptivity constants: A validation case study using bovine serum albumin." Biopharm international 16 (2003): 30-43.
'생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뱀파이어의 정체는? 포르피린증, 광견병, 펠라그라 (0) | 2020.04.12 |
---|---|
NDMA, N-Nitrosodimethylamine 잠재적 발암물질 (0) | 2020.01.01 |
[논문 소개] 이산화탄소 먹는 대장균, CO2를 바이오매스로 (0) | 2019.12.28 |
[논문 소개] 독성 CD4 T세포, 110세 이상 장수 비결 연구 (0) | 2019.12.28 |
[논문 소개] 3중 특이성 항체을 이용한 암 면역치료의 가능성 (T세포와 다발성 골수종) (0) | 2019.12.28 |